언제 들어도 좋은 우리가락 우리 민요 아리랑 충북 음성군 생극면 안터마을 배경 영상과 함께 Korean folk song Arirang 4K

Details
Title | 언제 들어도 좋은 우리가락 우리 민요 아리랑 충북 음성군 생극면 안터마을 배경 영상과 함께 Korean folk song Arirang 4K |
Author | Zenespa |
Duration | 2:42 |
File Format | MP3 / MP4 |
Original URL | https://youtube.com/watch?v=LtXQ6wxCzcQ |
Description
#아리랑 #민요 #arirang_news
저희 안터마을의 봄풍경을 배경으로
우리 민속 음악인 민요 아리랑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세월과 함께 우리 가락이 점점 마음에 와닿습니다.
회한이 깃든 우리 민요, 아리랑은 많이 슬프기도 하지만
순수한 인간의 본성이 느껴져 노래를 들을때면 가슴 한편이 뭉클해집니다.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 리도 못가서 발병 난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청천 하늘에 잔별도 많고
이 내(우리네) 가슴엔 희망도 많다.
-----------------------------------
아리랑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민요입니다.
아리랑은 2012년 12월,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2014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되었습니다.
지역별로 각각 다른 아리랑이 전해져 오고 있습니다.
아리랑은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한반도와 해외 한민족 사회에서 널리 애창되는
대표적인 노래이며 한반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발생된 아리랑은
강원도 정선 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확산되어
8000만 한민족의 민요가 되었습니다.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阿里娘打令(아리랑타령)이 있으며,
한자 표기는 원래 어원이 아닌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한
음차 표기라고 합니다.
'아리랑'과 '쓰리랑'은 고대 북방 샤머니즘의 장례문화에서
'영혼을 맞이하고 이별의 슬픔을 참는다'라는 의미로 추정된다는
견해가 있습니다.